구미 죽장리 오층석탑
- 지정 : 국보
- 한자명 : 龜尾 竹杖里 五層石塔
- 유형분류 :유적_건조물 > 종교신앙 > 불교 > 탑
- 시대 : 통일신라
- 지정일 : 1968-12-19
- 소재지 :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505-2
이층기단(二層基壇) 위에 오층탑신(五層塔身)을 형성하고 정상에 상륜부(相輪部)를 구성하였으나 현재 노반(露盤)까지 있고 그 위에 상륜은 전실(全失)되었다. 18매의 장대석(長大石)으로 지대(地臺)를 구축하고 그 위에 기단(基壇)을 마련하였는데 상ㆍ하층의 면석(面石)이나 갑석(甲石)은 10여 매의 판석(板石)을 조립(組立)하여 이 석탑의 규모가 거대함을 또한 입증해주고 있다. 상층기단 갑석위에는 탑신부를 받는 괴임 2단이 있으며, 이 괴임단도 오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졌다. 초층 옥신은 6매석으로 조립되었고, 남면에 감실(龕室)이 개설(開設)되었는데, 현재 그 내부는 공허하지만 본래는 존상(尊像)을 봉안(奉安)했었을 것이다. 감실 입구에는 각형(角形)과 사분원(四分圓)의 몰딩으로 액(額)을 돌렸으며, 그 내부 좌ㆍ우의 상ㆍ하에 소원공(小圓孔)이 있는데 이것은 당초에 양측으로 문비(門扉)가 마련되었던 흔적이다. 각층의 신개석(身蓋石)은 각기 수 매 석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최하의 지대석부터 노반까지 소요된 석재는 수 백 매로 추산된다.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양식인 이층기단을 형성하고 있으나 탑신부의 옥개에 있어서는 낙수면(落水面)이 층단형(層段形)을 이루고 있어서 곧 전탑(塼塔)이나 모전석탑(模塼石塔)의 낙수면을 연상케 하여 특징적임을 알 수 있다. 이렇듯 거대하고도 웅장한 석탑을 건립함에는 반드시 당시의 불교ㆍ사회적 배경 등이 관계될 것이므로 이러한 거창한 후사(後事)를 일으킬 수 있었던 때는 불교미술(佛敎美術)의 정화기(精華期)인 통일신라시대가 아니고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.
학술자료
-
- 1.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: 국가지정 문화재(1993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/ 발행처 : 경상북도교육연구원
-
- 2. 龜尾史料集(1998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구미문화원 / 발행처 : 구미문화원
-
- 3. 文化財脩理報告書 : 국가지정문화재 . 下卷(1999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문화재청 / 발행처 : 문화재청
-
- 4. 龜尾市誌(2000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구미문화원 / 발행처 : 구미문화원
-
- 5. 배낭 하나에 담아 온 여행(2000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김산환 / 발행처 : 성하출판
-
- 6. 文化財大觀(2003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경상북도 / 발행처 : 경상북도
-
- 7. 한국의 사찰(2006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김형우, 신대현, 안병인 / 발행처 : 대한불교진흥원
-
- 8. 내 고향의 전설 : 경·북·市·편(2010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김환대 / 발행처 : 한국학술정보
-
- 9. 나한전 문살에 넋을 놓다(2011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박필우 / 발행처 : 서해문집
-
- 10. 新羅 竹杖寺址 五層石塔의 樣式과 特徵(2013년 발행)
- 학술논문 / 저자 : 이순영 / 발행처 : 한국고대사탐구학회
-
- 11. 국보·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, 경상북도(경주·대구 제외)(2013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김광호 / 발행처 : 혜성
-
- 12. 경상북도의 석탑Ⅸ(2015년 발행)
- 조사보고서 / 저자 : 국립문화재연구소 / 발행처 : 국립문화재연구소
-
- 13. 탑: 선 채로 천년을 살면 무엇이 보일까(2019년 발행)
- 단행본 / 저자 : 손묵광, 이달균 / 발행처 : 마음서재